본문 바로가기

트렌드 분석(이슈)

(3)
온라인 개학 준비하기. 공식 정보. (스마트 기기 지원받기, 인터넷 비 지원 받기, 교사 출근 방식) 교육부 및 교육청, 신뢰성 있는 정보만을 보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온라인 개학 준비하기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온라인 개학 확정 코로나 19 감염증은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는 완전히 종식이 안됩니다. 습도가 오르고 온도가 오르면 바이러스 확산이 더뎌지긴 합니다. 그렇지만, 학교는 밀접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여름이 와도 개학은 힘듭니다. 그래서, 교육부에서는 온라인으로 개학을 확정 지었습니다. 2. 온라인 개학 시기 총리는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학을 한다고 하였습니다. 교육청마다, 여러 온라인 매체를 활용해서, 몇 학교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아직 확정된 온라인 개학 방식은 없습니다. 그래서, 4월 9일부터, 고3부터 시작해서 차례로 개학을 추진한다고 ..
개학 연기 교사 출근? 교사에게 물어본 정확한 답을 알려 드립니다. (광고 없는 블로그) 개학이 연기되었습니다. 개학(신입생은 입학)이 3월 2일에서 일주일 연기된 3월 9일로 3월 23일로 4월 6일로 온라인으로 바뀌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학생은 학교에 나오지 않습니다. 나와도 상관은 없는데 할 게 없습니다. 보안이 강한 학교는 교직원을 제외하고는 출입을 막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개학 연기에 교사는 출근을 해야할까요? 정답은? 학교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근무를 할 수 있다, 하나하나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학교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다. 개학 연기는 휴일이 아닙니다. 국가 재난 상황으로 인해, 학생들이 등교를 안하는 날입니다. 정상적인 근무일이므로, 전 교직원은 근무지에서 근무를 해야 합니다. 2.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학교장은 교장 선생님을 가..
마스크 대란 해결하는 방법, 마스크 쉽고 싸게 구하기(광고 없는 블로그) 마스크 대란입니다. 뉴스에는 마스크를 구하기 위해서 줄을 선 사람들의 모습이 지속적으로 보도되면서 충분한 양을 갖고 있음에도 더 구입하지 못해 불안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마스크 대란을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국가적 차원에서 공무원들을 각 지역 마스크 공장에 배치해서 불법적으로 반출되는 일을 막아야 합니다. 지금 대부분은 공무원들은 비상 대기 상황으로 24시간을 12시간씩 나눠서 근무하는 등 고생이 많습니다. 하지만, 국민들이 생각할 때는 가려운 곳을 쉽게 긁지 못해서 답답한 마음이 많이 듭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공급입니다. 이미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므로, 해외 반출을 막아야 합니다. 공항에서는 일괄 반출 규제가 가능하지만, 중간 상인들이 업체와 몰래 거래하여 빼..